|
|
|
|
GS1 바코드, GTIN 바코드:Global Trade Item Number (국제거래단품식별코드)
GS1-13 코드는 13자리의 숫자로 구성된 코드로 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국제표준이다 |
GTIN : Global Trade Item Number (국제거래단품식별코드)
거래단품란 공급체인 상에서 가격이 매겨지거나 주문 단위가 되는 상품을 말하며,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모든 낱개 상품 뿐 아니라 묶음 상품,
기업 간 주문 단위로 이용되는 골판지 상자 단위도 거래단품의 범주에 포함
GTIN 종류는 GS1-8 (8자리),GS1-13 (13자리),GS1-14 (14자리) 있으며,전산 처리할 경우에는
모두 14자리로 입력 하므로 각 코드의 앞에 ‘0’을 채워 14자리로 만든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한다.
::GS1 바코드 적용 절차: 1 단계 : 업체코드 신청, 2 단계: 상품코드 설정, 3 단계: 바코드 인쇄방법 결정
4 단계:바코드 판독환경 고려, 5 단계:바코드 종류 결정, 6단계:바코드크기설정, 7 단계:바코드넘버부여
8 단계 : 바코드 색상 선택,9 단계 : 바코드 부착위치 결정,10 단계 : 바코드 품질관리 계획 수립
** GS1-128 바코드
- GS1-8, GS1-13, GS1-14는 단품 또는 박스단위에 인쇄되는 무의미성, 범용성, 식별코드임
- 물류단위에 다양한 정보를 표준화하고자 함
- 물류단위(박스, 팔렛트, 콘테이너 등)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고자 하였으며, 기업간, 산업간에 상호호환이 가능한 표준정보를 담을 수 있는 코드에 대한 욕구가 발생함.
이에 따라 EAN Int'l과 UCC(Uniform Code Council), AIM(Automatic Identification Manufacture)에 설계
<GS1(GS1-8,GS1-13,GS1-14), GTIN 바코드 적용 표준 사용자 지침서>
|
KAN코드
(Korean Article
Number)이란:한국바코드는 국가표준코드로 제조,물류,유통 사용
|
한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한국 바코드 표준코드는 KAN 이며 백화점,수퍼마켓, 편의점 등 유통업체에서 최종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상품에
사용하는 코드로써, 상품제조단계에서 제조업체가 상품포장에 직접 인쇄하는
것으로 KAN코드에는 표준형A. 표준형B(KAN-13)와 단축형(KAN-8)의 두종류가
있습니다.
EAN-13 코드와 동일한 국내 유통 바코드인 KAN-13, 13자리 바코드로써 유통업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
있으며, EAN-8 코드는 국내유통 바코드로 KAN-8 단축형코드로 사용합니다 또한 UPC-A, UPC-E, CODE128, EAN128 코드
는 국내제조업체가 해외 수출시에 쓰이는 바코드 종류입니다
|
|
|
KAN-13
(표준형A와 표준형B) |
|
|
표준형A는 의류 등 다품목 취급업체에 부여하는 코드로서 본 센터에서
심사후 부여하며, 표준형B는 식품, 화장품, 잡화 등 소스마킹을 필요로
하는 업체에 부여하는 코드입니다. |
|
|
|
|

|
|
|
|
|
|
|
KAN-8 (단축형)
|
|
|
인쇄면적이 극히 좁은 포장지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, 표준형을 등록한 업체만이 등록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|
|
|

|
|
|
- 국가식별코드 |
국제표준코드관리기관(EAN International)에서
우리나라에 부여한 코드 |
- 제조업체코드 |
한국유통정보센터가
국내 제조업체 및 판매업체에 부여하는 코드 |
- 상품품목코드 |
제조업체코드를 부여받은
업체가 자사의 개별상품에 부여하는 코드 |
- 체크
디지트 |
바코드의 판독오류를 검증하기 위한
코드 |
|
|
|
|
|

|
체크디지트(Check
Digit)의 계산 |
|
|
KAN
코드에서 사용되는 체크디지트는 한국공업규격(KS)에 정해진 방법(modulus
10방식)에 의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밟아 계산되며, 표준형이나 단축형에
관계없이 계산법은 동일합니다.
|
1단계 |
체크디지트를
포함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합니다. 즉, KAN-13의 국가식별코드
첫 자리는 13번째, KAN-8의 국가식별코드는 8번째가 됩니다. |
2단계 |
짝수번째에
있는 숫자를 모두 더합니다. |
3단계 |
2단계의
결과치에 3을 곱합니다. |
4단계 |
나머지
숫자(체크디지트를 제외한 홀수번째의 숫자)를 전부 더합니다 |
5단계 |
3단계의
결과와 4단계의 결과를 더합니다. |
6단계 |
5단계의
결과에 10의 배수가 되도록 더해진 최소수치('0'이상의 양수)가 체크디지트입니다.
여기서, 5단계의 결과가 10의 배수인 경우 체크디지트는 '0' 이 됩니다. |
예를
들어, 880 1234, 56789 C/D에 대한 체트디지트의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.
|
8 |
8 |
0 |
1 |
2 |
3 |
4 |
5 |
6 |
7 |
8 |
9 |
C/D |
|
1단계 |
13 |
12 |
11 |
10 |
9 |
8 |
7 |
6 |
5 |
4 |
3 |
2 |
1 |
|
2단계 |
|
8 |
+ |
1 |
+ |
3 |
+ |
5 |
+ |
7 |
+ |
9 |
= |
33 |
3단계 |
|
|
|
|
|
|
|
|
|
33 |
* |
3 |
= |
99 |
4단계 |
8 |
+ |
0 |
+ |
2 |
+ |
4 |
+ |
6 |
+ |
8 |
|
= |
28 |
5단계 |
|
|
|
|
|
|
|
|
|
99 |
+ |
28 |
= |
127 |
6단계 |
|
|
|
|
|
|
|
|
|
127 |
+ |
3 |
= |
130 |
따라서, 체크디지트는 3이 되며, 완성된
KAN코드는 880 1234 56789 3 이 됩니다 |
|
|
|
바코드 인쇄 규격
|
|
( 바코드 배율별 인쇄크기 )
|
|
 |
|
* LM = Light Margin, 측정단위 = mm
* 바코드 인쇄크기가 105% ~ 120% 일때 가장 판독율이 높습니다.
|
|
|
■ 표준규격(100%)
|
|
 |
|
|
( 바코드 배율별 인쇄크기 )
|
|
 |
|
* LM = Light Margin, 측정단위 = mm
* 바코드 인쇄크기가 105% ~ 120% 일때 가장 판독율이 높습니다.
|
|
|
■ 표준규격(100%)
|
|
 |
|
|
( 바코드 배율별 인쇄크기 )
|
|
 |
|
* LM = Light Margin, 측정단위 = mm
* 62.5% 이상 크기로 인쇄해야 합니다.
|
|
|
■ 표준규격(100%)
|
 |
|
|
|
|
( 바코드 배율별 인쇄크기 )
|
|
 |
|
* LM = Light Margin, 측정단위 = mm
* 50% 이상 크기로 인쇄해야 합니다.
|
|
|
■ 표준규격(100%)
|
 |
|
|
|
|
■ 표준규격
|
 |
|
* 박스 최하단에서 최소한 32mm 이상 위치
* 좌, 우측 모서리에서 최소한 19mm 이상 간격 유지
|
보건복지부 의약품 표준 (GS1 표준바코드 및 코드체계) :: GS1 128 GS1 Datamatrix |
보건복지부는 의약품 포장 단위마다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'의약품 일련번호 제도'를 2015년 1월부터 시행하였다. 이는 의약품의 유통 투명화 및 오남용, 위조방지 등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것으로, 제약사에서 생산·수입된 의약품이 도매상을 거쳐 요양기관으로 유통되는 전체 경로를 의약품 최소유통단위로 추적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. 또한 생산 및 유통과정 상 문제가 발생한 의약품은 신속하게 리콜 또는 회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.
의약품 일련번호 표시 및 유통이력(공급내역) 보고 제도에 따라, 의약품 제조·수입사에서는 자사 의약품 포장에 일련번호가 입력된 GS1 국제표준 바코드를 인쇄해야 하고, 제품 출하 시 관련 정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로 보고해야 한다. 그리고 의약품도매상에서도 공급받은 의약품을 출하할 때 일련번호 등 의약품의 정보를 보고해야 한다.
현재 미국, EU, 중국 등 여러 나라에서 GS1 국제표준 기반의 의약품 일련번호 제도 도입을 준비하고 있거나 이미 도입한 바 있으며, 우리나라의 경우, 2011년 관련 규정 개정*을 통해 일련번호 표시를 2015년부터 추가하도록 한 바 있다.
* 「의약품 바코드와 RFID tag의 사용 및 관리요령 (2011.5월 개정·공포)
|
GS1 UDI 표준 바코드 :: US FDA 의료기기 UDI 규정 |
UDI란 의료기기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체계를 말하는데, 이는 자국 내 의료기기의 유통과 사용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전자건강기록(EHR) 상 표준화된 의료기기 사용내역 문서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도입되었다. 동 규정에 따라 2014년 9월부터 2018년 9월까지 단계적으로 미국 내 유통되는 全의료기기에 UDI를 적용해야 한다
UDI는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, 첫째는 의료기기 고유식별코드(Identifier)이고, 두 번째 표준은 해당 식별코드를 기계가 읽을 수 있도록 만든 바코드(BarCode)이며, 마지막으로 의료기기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(Database)이다. 이러한 세 가지 구성요소를 합하여 UDI 시스템이라고 말한다.
GS1 UDI 표준
GS1은 US FDA에서 인정한 UDI 표준으로서, 국제표준 상품식별코드인 GTIN과 GS1 응용식별자(AI, Application Identifier)를 이용하여 UDI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, 의료기기 공급망의 바코드 환경에 따라 1차원 또는 2차원 바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.
|
GS1 DataBar 바코드 :: 상품 유통기한 관리, 이력추적 관리 |
GS1 DataBar 바코드는 기존 EAN/UPC 바코드가 상품 식별 기능만을 갖는 것에 반해 부가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상품 유통기한 관리, 이력추적 관리 등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창출이 가능한 차세대 바코드입니다.
신선식품에 GS1 DataBar를 도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
- 기존의 내부관리자코드(RCN, Restricted Circulation Number)로부터 표준상품식별코드로 사용 변경을 가능하게 함 (예: 내부관리자코드는 개별 기업 내부적으로만 사용하는것이기 때문에 거래하는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간 코드사용 규칙에 대한 사전 약속이 필요함, 그러나 표준상품식별코드는 전 세계 어디서나 표준화된 방식으로 사용하는 표준 코드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해소됨)
- 카테고리 관리(Category Management) 향상 (예: 재고관리 향상, 감손(Shrinkage) 감소)
- POS에서 이력 추적을 가능하게 함
- POS에서 유통기한 관리를 가능하게 함
- POS에서 차등 가격할인(Markdown) 관리를 가능하게 함
- 매대에서 상품 품질검사 기능을 향상시킴 (예: 유통기한 정보를 바코드에 담을 경우 기존에 매대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유통기한 관리를 POS 시스템을 활용하여 자동 화할 수 있음)
- 상품 보충(Product Replenishment) 향상 및 재고 품절(Out Of Stocks) 감소
- POS에서 가격조회 정확도(Pricing Accuracy) 향상 (예: 유기농 對비유기농)
- POS에서 표준 쿠폰 사용을 가능하게 함
|
국방 표준 바코드 (국방 표준 바코드 운용 지침서) :: 1D 바코드,2D 바코드(QR코드) |
1. 운용 목적 : 국방 표준 바코드는 한국군 군수정보체계 운영에 필요한 군수품 정보를 바코드화 하여 관련 정보를 군수정보체계와 자동으로 연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육안 인식 및 키보드 입력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 하고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처리하기 위해 운용하며, 궁극적으로는 군 물류 흐름을 개선하고 군수 자산의 실시간 가시화를 달성하기 위함이다.
2. 활용 범위 : 국방 표준 바코드는 군수품을 관리하는 현장의 수입/검수(검사)업무, 저장업무(분류/입고/저장관리), 불출업무(색출/재포장), 부대 간 군수품 유통 시 사용하는 증빙서 인식 및 창고 내 저장대의 위치 식별 등에 활용한다.
3. 국방 표준 바코드 분류 : 국방 표준 바코드는 사용 목적에 따라 군수품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군수품 식별코드, 검사 및 납품조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검사 및 납품조서 식별코드, 수입 및 불출증빙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증빙서 식별코드, 그리고 창고 내 저장위치 식별을 위해 사용하는 저장대 식별코드 등으로 분류한다.
|
국방 표준 바코드 심볼리지 |
국방 표준 바코드는 1차원(선형)바코드 심볼리지와 2차원(2D)바코드 심볼리지를 사용한다. 1차원(선형)바코드 심볼리지는 코드39(CODE 3 OF 9)를 사용한다. 2차원(2D)바코드 심볼리지는 QR코드와 PDF417코드 2가지를 사용하며, 한글 사용이 용이한 QR코드 사용을 권장한다.
이들 세부규격 및 기준은 국가/국제표준에 따르며, 대한민국 국가표준은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홈페이지(www.standard.go.kr)에서 확인할 수 있다.
1) 1차원(선형) 바코드 : 코드39(CODE 3 OF 9)
코드39의 기호특징, 데이터문자 부호화, 크기, 허용범위, 복호화 알고리즘과 운용에 대한 정의는 한국기술표준원에서 고시한 국가표준 KSX ISO IEC 16388: 2001(KS 정보기술-자동인식 및 데이터 획득기술-바코드심볼리지 사양-코드39)을 따른다. 이에 상응하는 국제 표준은 ISO/IEC 16388 (Information Technology -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Techniques - Bar Code Symbology Specification - Code39)이다. 코드39의 세부사항은 다음의 국가/국제표준을 참조한다.
2) 2차원(2D)바코드 : QR코드
QR코드의 기호특징, 데이터문자 부호화, 크기, 허용범위, 복호화 알고리즘과 운용에 대한 정의는 한국기술표준원에서 고시한 국가표준 KS X ISO/IEC 18004:2007(KS 정보기술 - 자동인식 및 데이터 획득기술-바코드 기호사양 - QR코드 해설)를 따른다. 이에 상응하는 국제표준은 ISO/IEC 18004 이다. QR코드의 표준 관련 세부사항은 다음의 국가/국제표준을 참조 한다.
3) 2차원(2D) 바코드 : PDF417코드
PDF417코드의 기호특징, 데이터문자 부호화, 크기, 허용범위, 복호화 알고리즘과 운용에 대한 정의는 한국기술표준원에서 고시한 국가표준 KS X ISO/IEC 15438(KS 정보기술-자동인식 및 데이터 획득기술-바코드 기호사양-PDF417)을 따른다. 이에 상응하는 국제표준은 ISO/IEC 15438 이다. PDF 417코드의 세부 사항은 다음의 국가/국제표준을 참조 한다.
4) 바코드 라벨 규격
1) 라벨 크기 : 바코드 라벨 크기는 내부/중간/외부 포장지의 여백에 부착이 용이하고 바코드 스캐닝이 용이한 크기로 제작하여야 한다.
2) 라벨 용지 재질: 바코드 라벨용지의 재질은 부착, 훼손 등을 고려하여 군수품의 특성에 맞는 재질을 사용하여 부착한다. 특히 화학 처리된 열감지로 코팅이 되어 있는 감열지는 습기에 약하므로 사용을 지양하고, 열전사 방식(리본방식)의 라벨지 사용을 권장한다. [그림 12]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라벨지를 나타낸 것으로 군수품 특성을 고려하여 라벨지를 선택해야 한다.
3)) 라벨 재질 : 아트지 , 유포지, 은무데드롱지, 패트(PET)지,투명지


|
<국방부 표준 바코드 운용 지침서>
|
|

|
|
|
Copyrightⓒ1999~2022 by Icom Information System CO.,LTD. All Rights reserved. |
|